환단고기에 관한 연구

환단고기와 동이족 문화: 한민족의 뿌리를 찾아서

taeung-15 2025. 4. 6. 15:25

1. 동이족이란 누구인가?

동이족(東夷族)은 중국 고대 문헌에 등장하는 동방의 민족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흔히 ‘오랑캐’라는 의미로 해석되지만, 이는 후대 중국 중심 사관에서 왜곡된 개념이며, 본래 동이(東夷)는 **‘크고 융성한 동방의 문명’**을 의미합니다.

환단고기에서는 동이족을 한민족의 직계 조상으로 설명합니다. 단순한 부족이 아니라, 태고적부터 동방을 지배하며 찬란한 문화를 꽃피운 고대 국가 집단이었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동이족은 어떤 문화를 가졌으며, 한민족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2. 환단고기에서 바라본 동이족의 기원

2.1 동이족은 단군조선의 후예

환단고기에 따르면, 동이족은 단군조선에서 갈라져 나온 여러 지류 중 하나입니다. 즉, 동이족 = 단군조선의 후예들이라는 것입니다. 이는 기존의 중국 중심적 역사관과는 전혀 다른 시각입니다.

  • 환국(桓國) → 인류 최초의 문명 국가
  • 배달국(倍達國) → 동방 문명의 시작
  • 단군조선(檀君朝鮮) → 한민족 최초의 국가
  • 동이족(東夷族) → 단군조선의 후손으로, 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감

2.2 동이족과 중국 고대 왕조

중국의 고대 역사 기록에도 동이족과 관련된 기록이 많습니다.

  • 하(夏)나라: 동이족과 끊임없이 교류
  • 은(商)나라: 왕족들이 동이계 혈통
  • 주(周)나라: 동이족을 경계하면서도 문화적으로 영향을 받음

즉, 동이족은 중국 문명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오히려 초기 중국 왕조들이 동이 문명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3. 동이족의 문화적 특징

3.1 하늘을 숭배하는 천손사상

동이족은 하늘을 숭배하는 **천손사상(天孫思想)**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단군신화에도 잘 나타나 있습니다.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와 인간 세상을 다스렸다는 이야기는 동이족의 천손 의식을 잘 보여줍니다.

천손사상은 후대에도 계속 이어져, 고구려의 주몽 신화, 신라의 박혁거세 신화 등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3.2 태양을 숭배하는 문화

동이족은 태양을 숭배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고인돌 문화, 제천 행사(천제) 등으로 이어졌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고구려의 동맹(東盟), 부여의 영고(迎鼓), 동예의 무천(舞天)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는 단군조선 시대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동이족이 한민족의 뿌리임을 보여줍니다.

 

 

환단고기와 동이족 문화: 한민족의 뿌리를 찾아서

3.3 홍산문화와 동이족의 연관성

최근 발굴된 홍산문화(紅山文化) 유적들은 동이족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 홍산문화에서 발견된 옥기(玉器), 여신상(女神像) → 한민족의 고대 신앙과 연결
  • 제단과 피라미드 구조 → 환단고기에서 말하는 배달국, 단군조선의 흔적과 일치
  • 동이족의 선조들이 홍산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었음

홍산문화는 단순한 지역 문명이 아니라, 동이족과 한민족의 기원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4. 동이족과 한민족의 관계

4.1 한민족은 동이족의 후손

환단고기에서는 한민족을 동이족의 직계 후손으로 봅니다. 즉, 단군조선이 동이족 문명의 중심이었으며, 이후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까지 그 혈통과 문화를 유지했다는 것입니다.

4.2 삼국과 동이족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 시대에도 동이족의 전통은 그대로 남아 있었습니다.

  • 고구려: 강력한 기마 전통과 하늘 숭배 신앙 유지
  • 백제: 해양 활동을 중시하며, 태양 숭배 문화 계승
  • 신라: 제천 행사를 유지하며 천손 사상 지속

이처럼 삼국은 동이족의 문화를 계승했으며, 이후 고려와 조선으로 이어지면서 한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했습니다.

5. 왜 동이족 문화를 재조명해야 하는가?

5.1 중국의 동북공정과 역사 왜곡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를 자국 역사로 편입하려 합니다. 그러나 환단고기의 기록을 살펴보면, 동이족이 한민족의 조상임이 명확하며, 이는 고조선이 우리 역사임을 증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5.2 잃어버린 한민족의 정체성 회복

서구 중심의 역사관 속에서 한민족은 변방의 존재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동이족의 역사를 재조명함으로써 우리는 자신의 뿌리를 찾고, 더 넓은 시야에서 우리 역사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5.3 동이족 문화의 현대적 의미

동이족의 사상과 문화는 단순히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지금도 우리의 삶과 가치관 속에 살아 있습니다.

  • 천손사상 → 한국인의 강한 자긍심과 공동체 의식
  • 태양 숭배 문화 → 한국 전통 축제와 기념일(개천절 등)
  • 제천 행사 → 무속신앙, 전통 제사 문화

6. 결론

환단고기의 관점에서 동이족은 단순한 동방의 오랑캐가 아니라, 위대한 문명을 이루었던 한민족의 조상입니다. 단군조선에서 시작된 동이족의 역사는 삼국, 고려, 조선을 거쳐 현대 한국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문화와 정체성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동이족 문화를 연구하고 되찾아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과거를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 미래를 위한 역사적 기반을 다지는 것입니다. 환단고기의 기록과 고고학적 증거들을 바탕으로 동이족의 문화를 더욱 깊이 연구하고, 우리 민족의 뿌리를 확고히 해야 할 것입니다.